‘자산 건전성 악화’ 저축은행 신용등급 줄강등

입력
기사원문
김준희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달 페퍼·바로저축銀 등급 하향
충당금 부담에 추가 하락도 우려
금감원, ‘연체율 관리’ 현장 점검
연합뉴스

고금리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여파로 저축은행들의 신용등급이 줄줄이 낮아지고 있다. 올해도 업황 개선 기대감이 크지 않은 가운데 부실채권 매각 등 연체율 관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 당국은 연체율 관리가 미진한 업체를 직접 점검할 계획이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달 들어 저축은행 두 곳의 신용등급이 잇따라 강등됐다. 나이스신용평가는 페퍼저축은행의 신용등급을 BBB(부정적)에서 BBB-(부정적)로 하향 조정했고 한국기업평가는 바로저축은행 신용등급을 BBB+(부정적)에서 BBB(안정적)로 내렸다. 지난달에는 한국신용평가가 JT친애저축은행의 신용등급을 BBB로 유지하되 등급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변경했다. 이자 및 대손비용 증가로 인한 수익성 저하와 부동산 경기 위축에 따른 부실여신 증가 등이 이유였다.

국내 저축은행 79곳은 지난해 5559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9년 만에 적자였다. 이자 감소와 PF 대출 관련 선제적 대손충당금 적립 때문이었다. 연체율도 6.55%를 기록해 전년 말(3.41%) 대비 두 배가량 뛰었다. 기업대출 연체율이 1년 새 2.90%에서 8.02%까지 치솟은 영향이 컸다. 같은 기간 고정이하여신비율(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도 4.08%에서 7.72%로 증가했다.


문제는 올해도 저축은행 업계 전망이 밝지 않다는 점이다. 고물가와 중동 분쟁 등의 영향으로 고금리 장기화가 지속할 전망이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올해 저축은행 업권이 손실에 대비해 쌓아야 할 대손충당금이 최대 3조3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봤다. 지속적인 자산 건전성 악화로 신용등급 추가 하락 우려도 커지고 있다. 신용등급이 BBB 아래인 투기등급으로 떨어지면 퇴직연금 신규 유치가 어려워지는 등 다른 사업에도 지장을 줄 수 있다.

업계에서는 부실채권 정리를 통한 건전성 회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부실한 부동산 PF를 정리하기 위해 경 공매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이달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6개월 이상 연체된 PF 대출에 대해서는 3개월 단위로 경·공매를 실시하도록 했다. 금융 당국에는 개인사업자 연체 채권에 대한 매각 채널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새출발기금(한국자산관리공사)과 부실채권(NPL) 투자사 외에도 민간 금융사에 개인사업자 연체 채권을 매각할 수 있게 해달라는 것이다.

금융 당국은 저축은행들의 연체율 관리 실태를 현장 점검할 방침이다. 올해 1분기 말 기준 연체율 관리계획이 미진한 일부 저축은행을 방문해 부실채권 매각 현황 등을 살필 계획이다. 또 건전성이 우려되는 10여곳 저축은행에 재무구조 관리 방안과 비상시 자본조달 계획 등을 담은 자본확충방안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악화할 수 있는 업황에 대비해 비상계획을 미리 세우라는 취지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