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S 하나카드 발급 전, 또는 발급 후 궁금해 하는 것들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최종 업데이트: 2025년 8월 9일
신용카드 사용이 일상화 되다보니 그 시대에 한번쯤 혜자카드(혜택이 많은 효자같은 카드)가 한번씩 나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카드 중 하나를 예를 들면 신한 더모어 카드인데, 이 카드는 신이 아닌, 설계사가 잘못 만든 카드라고 해석하지 않는이상 이해가 안될 정도로 엄청난 카드죠. 그 만큼 말도 많았던 최고 혜택의 카드였습니다.
이번에 나온 MG+S 하나카드 또한 혜자카드로 불리고 있는데 최근에 역대급 카드가 좀좀 했던 찰라에 새마을금고와 하나카드가 합작으로 만든 카드로 요즘 한창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관련 글들은 현재 시리즈로 올리고 있으니 MG+S 하나카드 발급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사용하면서 지속적으로 커뮤니티를 모니터링 하면서 어떤 좋은 팁들이 없는지를 살펴보고 있는데, 그렇게 보다가 많은 분들이 똑 같은 질문은 지속적으로 하는 것을 보고 FAQ 관련 글을 작성해야 겠다는 생각으로 이 글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A. 아닙니다. 카드 발급 초기에는 가능했지만 2025년 7월 24일부터 비대면 신청이 중단되어 가까운 새마을금고 영업점 방문을 해야 합니다.
A. 네, 하나카드이긴 하지만 새마을금고와 함께 만든 카드기 때문에 자동이체 설정을 반드시 해야 합니다.
A. 새마을금고 특성상 출자회원 가입을 받는데 가입시 첫회 연회비(17,000원)을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참고로 출자금은 금고마다 3만원~50만원까지 다양하니 가까운 지점을 방문해 보세요. 출자금 연회비 케쉬백 이벤트는 12월까지
A. 출자금은 새마을금고마다 금액이 다를 수 있습니다. 출자금은 1인당 최대 3천만원까지 예금자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미성년자도 출자회원 가입이 가능하며, 출자금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출자금은 입출금 거래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연 1회 배당금을 수령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A. 출자금 통장 돈 찾으려면 매년 12월까지 해지 신청하고 그 다음해 3월 결산 끝난 후 받을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게 비대면 해지는 불가능 하기 때문에 직접 방문해지만 가능합니다.
A. 국세, 지방세, 수도/전기요금, 그외 공과금, 도시가스 요금, 아파트관리비, 국민연금/고용보험료/산재보험료/건강보험료 납부 금액 스쿨뱅킹, 초중고 납입금, 대학등록금, 대학원등록금, 상품권 및 기프트카드 구매, 선불카드 및 선불전자 지급수단 충전금액, 부동산임대료
A. 네, 이 카드의 장점 중 하나가 이 부분 입니다.
A. 현재 하나카드가 없다면, 카드고릴라, 네이버/토스/카카오페이 등에서 발급혜택(약 10만원)을 받은 후 새마을 금고 출자회원 가입으로 연회비 면제(17,000원) 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A. PLCC는 카드는 특정 브랜드나 기업과 제휴하여 해당 브랜드에 특화된 혜택을 제공하는 신용카드를 의미합니다. 차이점은 PLCC는 카드사와 제휴 브랜드가 공동으로 상품을 기획하고 비용과 수익을 분담하는 반면, 제휴 카드는 카드사와 제휴처가 계약 관계에 따라 혜택을 제공합니다.
A. 전월실적에 따라 차등 혜택이 있습니다. 15,000원(30만원 이상), 30,000원(60만원 이상), 60,000원(100만원 이상). 즉, 월 6만원씩 1년 12개월 총 72만원을 절약할 수 있는 카드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