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 그리고 혁신행동이 각각 어떻게 직무성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고, 둘째, 혁신행동이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어떻게 직무성과 향상에 기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서울의 A구청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분석결과, 첫째, 혁신행동은 직무성과에 직접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과제난이도 선호, 업무만족, 관계만족을 매개하여 직무성과에 간접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효능감의 하위 구성개념인 자기조절효능감은 혁신행동과 직무성과에 각각 직접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간접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과제난이도 선호는 혁신행동에 대하여 모든 변수 중 가장 강한 긍정적 영향을 나타냈으며, 직무성과에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으나 혁신행동을 매개하여 간접적인 긍정적 영향력을 나타냈다. 셋째, 직무만족의 하위 구성개념인 업무만족과 관계만족은 혁신행동에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었으나 직무성과에는 유의미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모두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관계만족이 보다 강한 영향력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직무성과에 대한 영향력의 크기를 살펴볼 때, 자기조절효능감이 가장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어서 혁신행동, 관계만족, 업무만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혁신행동에 대한 영향 요인으로써 각기 다루어지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의 개념을 보다 확대하여 각각의 하위 구성개념으로 범위를 넓혀서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이 혁신행동과 조직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포괄적 연구모형을 구성하여 분석하였다는 의의가 있고 효능감의 하위 구성개념인 과제 난이도 선호가 혁신행동에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혁신행동을 매개하여 직무성과에 긍정적 영향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not only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task performance, but also to examine the intervening effects of innovation-behavior on the relationships.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s on the indirect, intervening effects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data for the study has been collected from government employees in a local government in Seoul. The results show that innovation-behavior has a direct effect on task performance (dependent variable) and indirect, interven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task difficulty, job satisfac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the dependent variable (task performance). Moreover, self regulating efficacy has direct, positive effects on innovation-behavior and task performance, but there is no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f self regualting efficacy on the dependent variable. While task diffulty has no direct effect on task performance, it directly, positively affects innovation-behavior and is indirect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task performance. Lastly, considering effect size of the variables, self regulating efficacy has largest effects on task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