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센터 핵심부품 AI반도체, 국산화율 80% 달성한다

입력
기사원문
나현준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과기정통부, K-클라우드 추진방안 발표
2030년까지 1조원 투입해서
AI반도체 고도화, 관련 SW 개발
반도체 전문가인 장관 첫 작품 눈길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2일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AI 반도체 최고위 전략대화’를 주재하고 국산 AI 반도체를 활용한 ‘K-클라우드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AI반도체 기술 로드맵을 발췌한 내용. AI반도체뿐만 아니라 이를 적용할 SW 개발에도 정부는 적극 나설 예정이다. <사진제공 = 과기정통부>
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1조원의 예산을 투입해 데이터센터에 들어가는 핵심 부품인 AI반도체(인공지능 반도체)의 국산화율 80%까지 높이기로 했다.

AI반도체란 AI기술을 활용해 데이터 학습과 추론을 하는 반도체로, 데이터 처리 능력과 에너지 효율이 기존 반도체 대비 몇 배 높은 반도체를 말한다. 미국 중국에 비해 후발주자인 국산 AI반도체가 시장서 경쟁력이 있게될 수 있을지 관심이 주목된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2일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AI 반도체 최고위 전략대화’를 주재하고 국산 AI 반도체를 활용한 ‘K-클라우드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행사엔 AI반도체(사피오코리아, 퓨리오사AI, 리벨리온, 딥엑스, 텔레칩스)와 국내 클라우드 기업(NH클라우드, KT클라우드, 네이버클라우드), 메모리 반도체 대기업(삼성전자, SK하이닉스) 대표·임원급이 참석했다.

이 장관은 “글로벌 기업 아마존(AWS)은 데이터센터에 자사 AI반도체를 적용해 기존보다 최대 70% 저렴한 비용에 컴퓨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이번 K-클라우드 전략을 통해 반도체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AI 반도체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약 1조원에 달하는 예산을 2030년까지 투입할 예정이다.

국산 AI반도체 고도화를 위해 8262억원, 개발한 AI반도체를 데이터센터에 적용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에도 1000억원을 투입한다. 특히 AI반도체 고도화와 관련해선 3단계의 기술 로드맵까지 만들어서 2028년엔 중국을, 2030년까진 미국을 따라잡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이 장관은 “이를 통해 2030년까지 국내 데이터센터 시장의 국산 AI반도체 점유율을 80%까지 확대해나갈 것”이고 덧붙였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아리즈톤에 따르면, 국내 데이터센터 시장규모는 현재 5조원서 2027년 7조원 중반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데이터센터 핵심부품인 AI반도체 국산화율이 80%까지 올라가면 현재 대부분의 부품을 미국업체에 의존하는 것에서 탈피할 수 있다. 아울러 국산 AI반도체 업체들의 실적도 쌓이면서 이를 통해 수출 활로를 개척할 수 있다.

이 장관이 취임 후 첫 방문으로 지난 5월 AI반도체 업체인 퓨리오사AI 사무실을 방문했기에, 이번 K-클라우드 전략이 이 장관이 초반부터 개입해 일군 첫 작품이란 평도 나온다.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장 출신인 이 장관은 반도체 전문가로서 사석에서도 “메모리반도체에 이어서 AI반도체가 미래다”를 연신 강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덕분에 이번 대책서도 AI반도체 고도화뿐만 아니라 이를 적용할 SW(소프트웨어) 개발까지 아우르는 ‘기술 로드맵’이 탄생했다는 후문이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